서울시는 174개 기업을 ‘서울형 강소기업’으로 추가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. 이에 따라 서울형 강소기업은 기존 127개에서 301개로 늘었다.
서울형 강소기업은 정규직 비중, 임금수준, 근무환경, 기업의 성장가능성 등 일자리의 질을 꼼꼼히 따져 본 평가에서
청년들이 일하기 좋은 곳을 의미한다.
이번 선정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연구분야, 화장품 등 뷰티산업, 디자인·캐릭터·애니메이션 등 콘텐츠산업분야
의 기업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.
또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유망한 가상현실(VR)·증강현실(AR)콘텐츠 제작, 로보틱스, 디지털 프린팅 솔루션분야의
기업도 눈에 띈다
◇다음은 새로 지정된 서울형 강소기업 명단
△공존연구소 △뉴메드 △다산에이디 △동학식품 △라이트팜텍 △라이프사이언스테크 놀로지
△라티스글로벌커뮤니케이션스△레브웨어△로보티즈 △로이츠나인 △리플렉션 △미래엔씨티
△바넷정보기술 △바이오닉스 △블루버드 △비즈엠알오△성일기공 △셀메이트 △시너젠
△신안정보통신 △에스앤지파워 △에이원네트웍스 △에이토즈 △에프원시큐리티 △열린기술
△유비원 △유비케이컴퍼니 △유아더디자이너△유플렉스소프트 △이씨오 △익스플즌
△인터컴 △제스엔지니어링△제이앤케이인터내셔널 △제이엔터프라이즈 △㈜중동텍스타일
△㈜청류에프앤에스 △㈜코엔지 △㈜피앤디디자인△㈜피오디커뮤니케이션즈 △㈜한국정보보안기술원
△㈜한빛안전기술단 △㈜휴네시온△㈜휴먼패스 △와우 △벤처스 △웹투게더
△유니디아 △유엠아이 △유원씨엔티 △이레텍 △이썸테크 △이씨플라자 △이엠텍아이엔씨
△인바디 △인브레인 △인진△인텔리전트솔루션즈 △인프라닉스 △잉글리시에그
△제이엠더블유 △젤리피쉬월드 △조이코스△주식회사 곰엔컴퍼니 △주식회사 마케팅이즈
△주식회사 매그넘빈트 △주식회사 소프트보울 △아미코스메틱
△주식회사 아이피플스△주식회사 에코카 △주식회사 파운트 △주식회사 뷰티클로
△㈜써치엠 △㈜엔티시스 △지니테크△지앤택 △지우이앤이 △지티씨슬루션△짐코
△컴트리 △켐아이넷 △코리아툴링 △코비전 △콜럼비아헬스케어 △클루닉스
△태양3C㈜ △트레젤컬렉션 △펀잇쳐스△아이포트폴리오 △알비더블유
△애드크레딧 △어반디지털마케팅 △에스앤소프트㈜△에스에이티정보
△에스에프씨바이오 △에스엔제이△에스엘테크 △에스엠스위치 △에스오에스정보기술
△에이브레인 △에이치아이디솔루션 △에이치와이스타일 △엠엔지 △엠투엠글로벌
△엠폴시스템 △예림씨엔피 △편두리△포스뱅크 △퓨렌스 △퓨처캠 △프리커스 △플라이쿱
△피노텍 △피닉스엔지니어링 △피비알케미컬△필라멘트리 △하누리 △티엔 △한국그린캠
△한국보원바이오 △한국크레딕라이프 △한국통합민원센터△한그린테크 △동룡케미칼△동아회원권
△두이즈 △디노플러스 △디에스엔스포츠㈜ △디자인인트로 △디지털슈퍼맨
△디지털존 △라돈닥터 △브라운백커피 △브리치△비덴트 △비트러스트 △사이버다임
△선광엘티아이 △선택인터내셔날△수향 △스마트 쿱 △시스메이트 △싸이텍코리아 △아이온
△아이진 △아이템베이 △오로라디자인랩 △오썸피아△오에이치코리아 △오프너디오씨
△고려기프트주식회사 △금탑에프앤비 △나딕게임즈△나이스솔루션뱅크 △너울정보
△네오크레마 △넥스트이온 △노미네이션 △눔코리아 △주식회사 뉴스젤리 △㈜다비오
△다임즈 △더스탠다드△주식회사 데이블 △델타텍코리아 △라톤테크 △로코
△리얼타임비쥬얼 △메타빌드 △모닥홀딩스△주식회사 모비데이즈 △㈜믹시티(MIXITY)
△주식회사 복지유니온 △씨케이머티리얼즈랩 △엔피프틴(N15) △발로이(valloy)